CI/CD
개발자가 코드 변경 사항을 중앙 리포지토리에 정기적으로 병합하는 DevOps 소프트웨어 개발 방식
CI → 빌드 및 유닛 테스트 단계를 지칭한다. 수정 버전이 커밋 될 때마다. 자동화된 빌드 및 테스트가 트리거된다.
CD → 배포 단계를 뜻한다.
→ 여기에서 첫 번째 화살표 Continous-Intergration 가 CI 단계를 뜻한다.
- 보통 로컬 워크스테이션에 소스 코드가 있음.
- 그걸 Wetson control 시스템으로 커밋한다. (왓슨 제어 시스템 : 소스 코드 관리 시스템)
- 이번엔 Git 을 사용해본당.
- 코드가 SourceControl 단계에서 사용 가능해지면, 자동으로 코드를 빌드하고 단위 테스트를 실행한다.
- CI 과정을 통해 소스 코드를 빌드하거나 컴파일해 아티팩트를 생성하고 아티팩트를 스테이징 환경에 배포한다.
- 스테이징 환경에서는 성능테스트/회귀테스트 진행.
- 테스트가 완료되면 프로덕션 환경에 배포 가능. 이 때 어떤 수동적인 개입이 없이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진행된다면 → Continue Deployment
- 수동 중재(직접 승인)가 필요한 경우 → Continous Delivery
- 빌드, 테스트, 배포 자동화를 CI/CD 라고 부른다.
→ 빌드 테스트 (CI) | 배포 (CD)
- git 에서 코드 커밋
- Jenkins 가 github 에서 pull code
- maven 으로 빌드하고
- tomcat 으로 배포
728x90
'개발공부 개발새발 > CI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CI/CD ) Ansible 로 배포 자동화하기 ! (0) | 2024.05.14 |
---|---|
CI/CD ) Docker 와 함께 자동 배포하기 (0) | 2024.05.13 |
CD ) Tomcat 과 함께 자동 배포까지 (0) | 2024.05.10 |
CI ) Jenkins 로 빌드 및 테스트 자동화하기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