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프로젝트/팀 프로젝트) MEMO:RE11 Test ) 간단한 단위 테스트 추가 기존 MEMO:RE 테스트 코드는 무거운 통합 테스트 코드가 포함되어 있어서 빌드 속도가 느렸당 ㅡㅅㅡ 최근 실무에서는 무거운 통합테스트보다는 여러가지의 단위 테스트를 하는 것이 낫다는 정보를 입수해 리팩토링 과정에서 간단한 단위 테스트 코드를 추가해보았다. MemoTest public class MemoTest { private Memo memo; private Long ownerId; private Long otherUserId; @BeforeEach void setUp() { ownerId = 1L; otherUserId = 2L; memo = mock(Memo.class); doNothing().when(memo).checkAuthorizedUser(ownerId); doThrow(new BadR.. 2024. 2. 22. 리팩토링 ) 컨트롤러를 핸들러와 응답 객체를 만들어 리팩토링 하기! 어렴풋이 알았었다. 핸들러의 존재. 하지만 활용은 못했었다. 하지만 이번 과제를 계기로 핸들러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그럼 뭐다? 활용한다! 아맞다 과제 회사는 떨어짐...ㅋ굿 ㅋㅋ try { String tagJson = tagService.writeForMain(id, tagDto); jsonObject.addProperty("tag", tagJson); } catch (UserNotFoundException e) { log.error("헤더에 들어있는 id 가 진짜 id 가 아니었다 Id = {}", id); jsonObject.addProperty("response", Response.USER_NOT_FOUND); return webService.badResponse(jsonObject); } 내.. 2023. 9. 18. MEMO:RE ) 팀 프로젝트 후기 비사이드에서 진행한 포텐데이, 10일 간의 짧은 미니 프로젝트가 끝났다. 프로젝트가 끝나고 나서는 긴 낮잠을 자고, 배달 음식도 시켜먹었다. 10일 동안 아이템 기획부터 십 수 번의 회의, 디스코드, 그리고 개발... 전부를 경험해보았다. 다른 직무 분들과 작업한다는 건, 내가 당연히 아는 것들이 그들에게는 당연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하며 처음 알려줬으면 더 좋았을 텐데 라고 생각하며 끝없는 수정 작업을 해야하기도 하고 의견이 달라 약간은 얼굴을 붉히는 일이 있기도 하다. 그럼에도 프로젝트를 함께 완성해나간다는 것은 굉!!!장히 재미있는 일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반드시 경험해보고 싶었던 건 역시나 "Rest Api" 프론트 서버와의 통신이었다. 난 다른 직무와, 특히 프론트 개발자와는 일.. 2023. 8. 14. 9~10일차 ) 안 되면 밤새면 되지 8월 12일, 아홉 째 날 프로젝트 마감이 13일 오후 3시라 거의 12일이 마지막 프로젝트날이라고 볼 수 있었다. 급하게 컨트롤러도 테스트도 마치고 메모 리스트를 불러와야하는데 문제(?)가 생겼다. 나는 DB 설계를 메모 메모태그(연결테이블) 태그 이렇게 만들고 데이터를 메모태그를 통해 불러오려고 했는데 12일 날 내게 좀 안 좋은 일들이 겹쳐 일어나 멘탈이 우수수 망가짐 + 잠을 못 잠 때문에 "메모태그로 태그들을 어떻게 불러오지????" 하고 뇌가 정지됐기 때문이다. 사실 그 전에 게시글 / 게시글댓글 / 댓글 로 게시글에 달린 댓글들을 불러왔던 경험이 있어서 이게 크게 어렵지 않은 작업인데도 불구하고 그 날 뇌정지가 와서 계속 어ㅓ법버....어떡하지...하고 몇 시간 째 개발이 멈춰있던 상황이었다.. 2023. 8. 14. 8일차 ) 그래서 니가 뭘 할 수 있는데? 8월 10일, 여덟 째 날 어제 면접으로 정시니가 없었기 때문에... 오전 회의도 정신 없이 지나갔다. (ㅠㅠ) 이해가 안 돼서 몇 번 되물어보고 확인했다...휴 그래도 다시 앉아서 개발을 하니까 머리가 돌더라고? 메모 추가, 수정, 삭제를 열심히 개발했다. 편리한 기능 @Valid 를 최대한 이용하고 싶었고, response 도 enum처럼 상수로 수정해서 쓰면 좋을 거 같았다. @Valid 예외를 잡을 @ControllerService 도 만들고~~~ 근데 개발 중,,,청천벽력(?) 같은 소식이...ㅎㅎㅎ 메모 기능이 수정 됨ㅠㅠ 처음에는 무조건 키워드+이유+태그가 들어가야 했는데 설문조사 의견을 반영해 키워드"만" 필수, 나머진 선택사항으로 놔두기로.... 으아아아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 나 개발.. 2023. 8. 10. 7일차 ) Rest Api 비켜 ! 프론트 통신 성공 ! 사실 6일차 밤에 한 거긴 한데 6일차에 작성 못했으니 여기에라도 작성! 프론트랑 RestApi 로 통신하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언젠가 통신 작업을 해야했다. 그리고 그게 어젯밤. 프론트 개발자님이 찾아오신 링크로는 서버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Cors 설정을 하고, ssh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한다고 하셨다. 그런데 네트워크를 쫌 공부한 내 생각에는 굳이 ssh 인증서를 발급받아야하나? (유료잔아.. 그럼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한 모든 서비스가 전부 유료 발급을 받아야해? 필요할 리가 없다고 생각했음.) Cors 정책이면 그냥 해당 요청만 받을 수 있도록 Cors 관련 설정만 하면 안 되나? 싶어서 "일단 Cors 설정 먼저 해볼게요." 했다. HTTP 도큐먼트에 보면 설정 예시가 나와있는데 블로그 링크들에 보.. 2023. 8. 9.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