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트 스트림은 2yte(8비트)로 값을 옮김
그래서 char로 값을 받아 옮기는데,
아스키코드는는 7비트의 이진수 조합으로 만들어짐
문자 스트림은 4byte(16비트)로 값을 옮김
그래서 int로 값을 받아 옮기는데
유니코드는 모든 문자를 16비트로 받아서 표현함
컴퓨터의 언어는 결국 숫자인데
컴퓨터가 문자를 옮기려면 그것을 숫자로 변환해서 옮겨야 함
char와 int가 받은 문자를 숫자타입으로 옮겨서 저장을 해서 입출력 해주는 것임
일반 정수 타입은 출력을 하면 그냥 그 값을 출력하지만
char 타입은 저장 할 때 아스키코드를 이용해 그 문자에 맞는 숫자로 변환해서 저장함
그래서, 바이트 스트림으로 문자를 옮기려면
char 타입을 이용해 '문자'를 '숫자'로 옮겨서
출력할 땐 그에 대응하는 아스키코드에 대입한 후 다시 문자로 출력하는 것
728x90
'개발공부 개발새발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QueryDsl 의존성(Gradle) 세팅 (0) | 2023.03.11 |
---|---|
뷰에서 컨트롤러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은? (0) | 2022.12.29 |
JAVA) 자바의 정석 기초편 : Iterator 예제 (0) | 2022.10.21 |
JAVA) 자바의 정석 기초편 : ArrayList 예제 (0) | 2022.10.21 |
JAVA) Arrays의 유용한 메서드들 (0) | 2022.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