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공부 개발새발/etc

기억해두려고 쓰는 토막 상식

by 휴일이 2022. 12. 30.

먼가 짜잘한 거 알게될 때마다 계속 추가됨

 

 

 

자바 스크립트

null 값이 없음

undifined 정의되지 않음

== 의미가 같나요?

=== 의미와 타입 둘 다 같나요?

true == 1

 

 

 

 

자바

배열은 순서가 있고 index(식별자) 있음

List는 순서와 식별자가 없음

배열은 길이 변경 불가

List 가변

배열 - 특정한 위치에 있는 요소를 지속적으로 불러올 때 좋음

 

배열 [0] 을 사용하는 이유 ?

선택하지 않았을 때, null값을 보내기 싫어서,

대신 [0]을 반환

 

클래스는 객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객체를 사용하는 것은, 객체의 속성과 기능을 사용하는 것, (변수, 메소드)

 

오버로딩

: 하나의 클래스에 같은 이름의 메소드 여러개 정의

매개변수의 개수 또는 타입이 달라야함

리턴 타입은 오버로딩 성립 조건이 아님(매개변수의 개수나 타입만 상관)

 

 

OOP 는 객체 지향

데이터를 추상화시켜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로 만들고

객체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상하는 방법

 

클래스

객체를 정의하는 설계도

객체

식별 가능한 객체 사물

 

 

 

html

식별자 이름을 class나 id 등에 쓰면 안 돌아감

예) class="form-table" <- 서밋 동작 X

 

 

 

 

Spring Secutiry

 

CORS는 브라우저의 구현 스펙에 포함되는 정책이기 때문에, 브라우저를 통하지 않고 서버 간 통신을 할 때는 이 정책이 적용되지 않는다. 또한 CORS 정책을 위반하는 리소스 요청 때문에 에러가 발생했다고 해도 서버 쪽 로그에는 정상적으로 응답을 했다는 로그만 남기 때문에, CORS가 돌아가는 방식을 정확히 모르면 에러 트레이싱에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