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이상했다.
뭐가 이상했냐면
운영 서버 볼륨을 100G 로 늘렸음에도
가용량이 29G 밖에 안 되는 것이었다.
생각해보니 테스트 서버 볼륨이 30GiB 였는데, 가용량은 6.8GiB 밖에 안 됐던 것이 생각났다.
그 때는 그냥 지나쳤었는데.. 왜 지나쳤을까
ChatGPT 탓을 해본다.
그(그녀)는 젠킨스 최소 권장 리소스는 t2.medium에 100GiB 의 볼륨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했단 말야...!!
- 인공지능에게 농락당한 인간의 말로..
어쨌든 .. 일단 테스트 서버에서 문제를 해결해보기로 한다.
실제 파일 시스템을 확인하기 위해
lsblk
명령어로 파티션 가용량을 확인해보았다.
역시... 30G 가 사용 가능하지만 7G 밖에 할당이 안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udo growpart /dev/xvda 1
나는 xvda1 파티션을 사용하니까 파티션을 확장하고
lsblk -f /dev/xvda1
해당 파티션이 어떤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지도 알아보았다.
(GPT의) 예상대로 ext4 를 사용하더라구요.
sudo resize2fs /dev/xvda1
그래서 파일시스템도 확장해주었다.
아주 만족스럽게 총 용량이 29G 로 늘어났고
가용량이 23G 나 생겼다 ㅎㅎㅎ
젠킨스 노드 디스크 스페이스도 이렇게나 늘어난 것을 확인 가능!!!!!! :D
테스트서버에 적용 이후에 운영 서버에도 적용시켰습니다!
-
파티션 용어 보니까 생각났는뎅
진~~짜 옛날에
집 컴퓨터에 항상 D드라이브에 게임을 깔았는데
C드라이브에 깔면 좀 더 빠른데 C는 용량이 적고 D는 용량이 많아서ㅎㅅㅎ...
제일 많이하는 게임 딱 하나만 C드라이브에 깔고 나머지는 D에 깔았던 기억이 난다.ㅋㅋㅋㅋ
왜 이런 기억이 났는지 잘 모르겠네.
예전에 아빠가 가져온 윈도우 시디로 포맷할 때 파티션 어쩌구 했던 기억도
하여튼
오늘의 교훈,
aws 에서 내가 설정한 EBS 보다 사용할 수 있는 볼륨이 적다면? -> EC2에서 파일 시스템 확장을 고려해봅시다.
또한 인공지능의 지능은 사용하는 인간의 지능에 비례합니다.^^
정말 메데타시 메데타시~^0^/
'개발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를 읽고 (1) | 2024.07.02 |
---|---|
Java ) LocalDateTime 은 시스템 시간 아니었나..?요? (0) | 2024.06.18 |
Jenkins 용량 부족, 결국...캐시 삭제(자동화) ㅡㅅㅡ (0) | 2024.06.11 |
멀티 서버 Socket 통신에 Message Queue 사용하기 (0) | 2024.06.04 |
CI/CD 도입..(with Jenkins) (0) | 2024.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