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389 조회 쿼리로 성능 개선기 ^ㅅ^ /) ( 1.47s -> 886ms ) 사용자가 요청을 했는데 요청이 됐는지도 모르고 버튼을 두 번 눌러서 데이터가 두 번씩 들어가는 이슈가 있었다.확인해보니 요청하고 응답이 올 때까지 생각보다 너무 오래 걸려서 (...) 그런 게 아닐까 싶었다.프론트엔드에서도 요청중인 듯한 로딩 표시 버튼을 주기로 했지만서버에서도 뭔가 조치를 취해야할 것 같았다! 해당 요청은 아래 프로세스를 거치고 있었다.1. 요청을 받아 데이터를 DB 에 저장한 뒤2. 해당 데이터를 구글 시트에 저장한다.3. SSE 알림을 보내기. 처음엔 구글 시트에 저장하는 로직에서 이슈가 있는 게 아닐까 싶었다.왜냐하면 구글 시트 저장 로직은 예전에 취소선이 추가되어 저장된다는 이슈가 있어서 확인해보니추가되는 바로 상위 행에 스타일을 따라가기 때문에 상위 행에 취소선이 있으면.. 2024. 4. 26. Kubernetes ) Environment 환경 변수deployment.yml 파일에 설정하기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name: story-deploymentspec: replicas: 1 selector: matchLabels: app: story template: metadata: labels: app: story spec: containers: - name: story image: holidaykang/kub-data-demo:2 env: - name: STORY_FORDER value: 'story'.. 2024. 4. 24. Kubernetes ) Volume kubernetes 의 볼륨쿠버네티스는 볼륨을 컨테이너에 탑재할 수 있다는 사실.다양한 볼륨 유형과 드라이버를 지원함.다른 클라우드 및 호스팅 프로바이더에서도 실행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실제 저장 위치에 매우 유연하다.로컬 볼륨, 클라우드 프로바이더 특정 볼륨 등…도커 볼륨과 비슷하지만 좀 더 강력(?)하다.도커 볼륨 시스템을 활용하지만 더 많은 기능과 옵션이 있다!kubernetes 와 docker 의 볼륨쿠버네티스에 많은 볼륨 유형이 있지만 컨테이너 내부에서 볼륨이 동작하는 방식은 다르지 않다.다만, 컨테이너 외부에 저장되는 방식이 쿠버네티스와 유형이나 드라이버에 따라 다르다.볼륨볼륨은 pod 에 연결되고 pod 별로 다르니까 pod 를 구성하는 위치에 볼륨을 정의해야.. 2024. 4. 24. BDD 는 아는데 DDD는 무엇이냐 도메인 주도 개발을 들어본 적은 있었다. 뭐 언젠가 적용해볼 날이 있겠지 하고 생각만 했었다. 요만큼에 공유 가계부 기능이 추가되어 가계부 설계를 변경해야했고 고민되는 것이 있어 몇 가지를 개발자님께 여쭤보았다. 두루뭉술하게 얘기하면,, 기존에는 가계부가 1인 1가계부였기때문에 가계부를 생성한 사람인지만을 검증하면 됐지만 지금은 한 사람이 여러 가계부를 생성할 수 있고 가계부 생성자가 아닌 "가계부에 소속되어 있는 사람" 임을 검증해야하는데 기존 코드는 이렇게 createUserId 에서 가져와서 검증하기만 하면 됐었지만 이제는 가계부->가계부유저-> 유저 -> user_id 를 가져와서 검증해야함. 게다가, 초대중이 아니라 초대를 수락한 유저인지 쓰기/수정/삭제 를 하려고 한다면 그런 권한이 있는지도 .. 2024. 4. 24. Kubernetes ) 선언적 접근 방식으로 쿠버네티스 사용해보기 명령적 접근 방식의 단점 명령을 외워야 한다. 반복 명령을 해야 한다. docker run 명령을 일일히 입력해야하는 것처럼.. deployment 구성 파일이 있으면 좋겠다!!!? 쿠버에도 리소스 정의 파일이 있으며, 이용 가능함! 선언적 접근 방식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 apply 명령을 실행하여 클러스터에 적용하려는 구성이 포함된 yml 파일을 가리킨다. 야물 파일을 이용해서 원하는 상태를 정의한다. 구성파일이 변경되어도 쿠버네티스가 변경 사항을 살펴보고 적절한 변경을 수행한다. docker-compose 와 비슷하다! 장점 매번 명령을 다시 입력할 필요가 없고 오류가 덜 발생. 유지 관리가 더 쉽다. 변경해도 반복 필요 없음. 하나만 변경할 수 있고 공유도 매우 쉽다. 동료가 작성한 파일을 보며.. 2024. 4. 22. Kubernetes ) 명령적 접근 방식으로 쿠버네티스 사용해보기 Kubernetes 는 객체와 함께 작동한다. Pods, Deployments Services, Volume … 특정 명령을 실행해 이런 객체들을 만들 수 있고 쿠버가 이 객체들을 사용한다. 객체에 인코딩된 명령을 기반으로 쿠버가 뭔가 수행함. 명령적 방식과 선언적 방식 Pod 쿠버네티스가 상호작용하는 가장 작은 유닛 쿠버네티스가 파드를 생성 파드는 (하나 이상의)컨테이너 보유하고 실행 일반적으로는 하나! 쿠버네티스는 파드와 컨테이너 관리 쿠버네티스로 Pod 사용 컨테이너 실행 후 클러스터의 특정 워커 노드에서 수행 코드 또는 명령을 사용하여 pod 객체 생성 객체를 쿠버네티스에게 전송 쿠버에게 수행 지시 → 파드는 컨테이너 생성뿐 아니라 컨테이너 리소스도 공유(볼륨 등) 파드 특징 파드도 클러스터의 일.. 2024. 4. 22.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65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