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팀 프로젝트) MEMO:RE

7일차 ) Rest Api 비켜 ! 프론트 통신 성공 !

by 휴일이 2023. 8. 9.

사실 6일차 밤에 한 거긴 한데 6일차에 작성 못했으니 여기에라도 작성!

 

 

프론트랑 RestApi 로 통신하도록 설계했기 때문에 언젠가 통신 작업을 해야했다. 그리고 그게 어젯밤.

프론트 개발자님이 찾아오신 링크로는

서버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Cors 설정을 하고, ssh 인증서를 발급받아야 한다고 하셨다.

 

그런데 네트워크를 쫌 공부한 내 생각에는 굳이 ssh 인증서를 발급받아야하나?

(유료잔아.. 그럼 네트워크 통신이 필요한 모든 서비스가 전부 유료 발급을 받아야해? 필요할 리가 없다고 생각했음.)

Cors 정책이면 그냥 해당 요청만 받을 수 있도록 Cors 관련 설정만 하면 안 되나? 싶어서

"일단 Cors 설정 먼저 해볼게요." 했다.

 

HTTP 도큐먼트에 보면 설정 예시가 나와있는데

블로그 링크들에 보면 다 와일드카드로 설정해놨더라고?(프론트 개발자님도 와일드카드 설정 해야된다고 그러시고)

믿고 했는데 안됨ㅋㅋ

 

그래서 오리진을 localhost:3000 (프론트 요청 포트가 3000) 으로 설정하고

헤더나 이런 건 와일드카드로 해버림, 메소드도 걍 쓰는 거 다 허용!

어차피 해당 오리진만 허용할 거니까 걍 무조건 true 로 놔버렸당

-> 그리고 Credentials 를 true 로 할 경우, Origin 을 무조건 설정해줘야한다. 와일드카드로 해두면 안 됨.

(원래 여기서도 좀 꼬였던 게 있었는데 뭐 해결 잘 했음..네트워크 공부했던 덕임 ㅠㅠ)

 

 

그리고 EC2 보안그룹에서 3000포트 접속 허용해버리기 등

먼가 네트워크 공부하고나니까 안 보이던 것들이 보인다.

 

Route53 도 라우(터) 설정이구나~

DNS 서버랑 닉네임이랑 IP 넣는 거구나~ 보이고

TCP/IP 에서 허용 IP 랑 포트 설정하는 것도 이젠 왜 하는지 알구

네트워크를 먼저 알아야 AWS 를 공부하든 뭘 하든 할 수 있는 거 같음...ㅎㅎ

검색 안 해봐도 아..이게 잘못된 거 같은데? 하고 알게 된 게 진짜 크다..아직 애송이지만ㅋ

 

뭐 하튼 프론트 통신 성공했을 때 개뿌듯 ㅠㅋㅋ

네트워크 책 몇 번 더 읽으면서 공부하고

OS 랑 DB 도 공부하고 !!ㅎ_ㅎ 헤헤

공부할 거 많고 개발할 것도 많아서 재밌땅

이력서 넣고 면접 보는 게 제일 안 재밌땅...

 

내일은 메모 추가랑

태그 수정 이런 거 개발~~~

 

 

 

 

728x90